top of page

미술 창의력, 100배 키우는 대화법

  • 씽크앤아트
  • 2017년 1월 20일
  • 2분 분량

StartFragment

매일 비슷비슷한 그림 그리기에서 탈피한

창의적인 미술 교육이 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엄마의 질문은 아이의 사고력을

넓혀주는 데 큰 역할을 합니다.

어떻게 해야 할지 함께 보실까요?

"작품을 만들면서 질문하기" 엄마가 질문하고 아이의 대답을 계속

이끌어내는 것을 "언어적 상호 작용" 이라고

합니다. 언어를 통해서 서로 영향을

주고 받는다는 말이지요.

엄마는 아이와 함께 작품을 만들면서

이전에 알고 있던 경험들을 상기시켜 줍니다.

만약 다른 아이와 함께 미술활동을 한다면

다른 아이의 경험들도

서로 공유하는 시간이 되게 합니다. "그걸 어떻게 그렸니?" "바닷가(혹은 주제가 되는 장소) 에서

어떤 걸 봤니?" "그곳에서 제일 인상 깊었던 건 뭐지?" "이런 모양을(혹은 이런 형태를) 어떻게 오렸니?" 과정 중간 중간에 아이에게 다양하게

질문을 던져서 사고력을 더욱 넓혀줍니다.

대화를 통해서 새로운 자극을 받은 아이가

그로 인해 또 다시 새로운 표현을 시도할 수 있도록 격려해 주는 것이지요.

"생각과 반응을 유도하는 질문" 어떤 일을 시키는 지시적 대화가 아니라

유아 수준에 맞는 대화를 이끌어냅니다.

유아 중심적인 이야기를 나누세요.

말을 건넬 때는 노력을 칭찬하고

지지하는 단어를 많이 써 줍니다.

"요구르트 병에 색종이를 잘 붙게 하려면

뭘로 붙이면 될까?" "이 두 가지 색을 섞으면 무슨 색이 될까?" "오늘은 정말 많이 그렸네~ 풀 물감으로 열심히 했구나"

"개방적 질문하기" 예, 아니오로 대답하는 질문이 아니라

아이의 생각을 이끌어내는 질문을 합니다.

정답이 있는 질문은 생각할 기회와

자신의 의견을 발표할 기회를 빼앗게 됩니다

. 다양한 생각을 이끌어내야 다음 활동을

보다 활발하게 이끌어내는 데 도움이 되겠지요. 작품의 전체적 특징을 물어볼 때- "이건 뭘까? (작품의 이름, 제목)" "물감으로 뭘 그린 적이 있니? (경험)" "물감을 보면 뭐가 생각나니? (연상)" "풀물감을 만져보면 기분이 어떨까? (느낌)" 이처럼 아이의 경험을 이끌어내고

활동을 관찰하면서 여러 가지 질문을 해 주세요.

전반적인 미술 활동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높여줄 수 있습니다. 작품의 부분적인 특징을 물어볼 때- "풀물감으로 뭘 만들 수 있지? " "손가락으로 풀물감을 문지르면 어떤모양이 될까?" "풀물감이 마르면 어떻게 될까? " "두 가지 풀물감을 섞으면 색깔이 어떻게 변할까?" 작품 전체를 보는 눈 외에 구체적인 부분

질문해서 자극이 되도록 합니다.

엄마의 질문으로 인해 사물을 좀더 역동적이고

적극적으로 탐색할 수 있게 도와 주세요.

다양하게 생각하는 법 외에 물감, 크레파스

등 미술 재료에 대한 활용 방식과

다양한 미술 기법, 주제의 세부적인

묘사 능력도 키워 줄 수 있어요.

EndFragment

추천 게시물
최근 오픈 
수업후기 
창업상담후기  
태그검색   

씽크앤아트|본사: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대로 49 성우빌딩 502호 

© 2017 by 한국방송영재교육원 THINK&ART. ALL RIGHT RESERVED.

Tel | 02-711-8110

​사업자등록번호 | 105-86-55726

bottom of page